1 |
Toys in the Attic에 나타나는 사랑과 지배의 문제
|
강관수
|
1~40
|
0
|
2 |
주인공의 더블 이미지(Double Images) 연구: Early Morning, The Narrow Road to the Deep North, Lear를 중심으로
|
김미량
|
2~74
|
0
|
3 |
제국-‘이후’의 의태와 인도 ‘라사’의 전유:스토파드의 In the Native State와 Indian Ink
|
김성제
|
3~102
|
0
|
4 |
Ashes to Ashes에 나타난 이야기하기의 다중적 기능
|
오경심
|
4~126
|
1
|
5 |
베케트의 ‘ghost’: 목소리를 위한 수사법:텔레비전극 What Where를 중심으로
|
윤화영
|
5~148
|
1
|
6 |
A Moon for the Misbegotten에 나타난 조시의 이중성 해부: 자전적 측면에서
|
이영주
|
6~170
|
0
|
7 |
브로드웨이/헐리우드 뮤지컬과 게이 문화:게이 관객의 은밀한 즐거움을 넘어
|
전준택
|
7~198
|
2
|
8 |
양차 대전 사이 미국 극작가의 반응:유진 오닐의 The Hairy Ape, The Great God Brown,Strange Interlude의 경우
|
최영주
|
8~231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