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비능격동사의 단회적 상의 해석에 대한 고찰
|
곽재용
|
11~27
|
0
|
2 |
스페인어 의문사 구문의 어순
|
김준한
|
29~44
|
1
|
3 |
지용 시의 스페인어 번역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에 관한 연구 -언어학적 관점에서-
|
마상영
|
45~65
|
2
|
4 |
스페인어의 형태론적 제약
|
유연창
|
67~82
|
0
|
5 |
El humor en Los verdes campos del Ed?n
|
Bo-yung Kim
|
85~100
|
0
|
6 |
M?s all? de la crisis literaria: en torno a la conceptualizaci?n de la metaficci?n
|
김찬기
|
101~116
|
0
|
7 |
?사볼따 사건의 진실?: 추리소설 기법을 이용한 현대적인 글쓰기
|
권미선
|
117~135
|
0
|
8 |
카밀로 호세 셀라의 소설과 피카레스크적 리얼리즘 전통
|
송선기
|
137~155
|
0
|
9 |
스페인 문학과 신화 -엘 시드와 야고보 신화를 중심으로-
|
안영옥
|
157~174
|
0
|
10 |
‘환상적 진실’: 17세기 초 스페인 희극에 나타난 바로크적 변증법
|
윤용욱
|
175~194
|
0
|
11 |
??마리아넬라??의 죽음에 나타난 철학적 의미
|
임주인
|
195~213
|
0
|
12 |
??벨라스케스의 그리스도??에 나타난 문학과 미술의 소통관계와 그 의미
|
조민현
|
215~231
|
0
|
13 |
Expresiones de lo inm?vil en Residencia en la tierra
|
Young-woo Nam
|
235~251
|
0
|
14 |
Función del aspecto verbal en Cortázar -Una lectura de los cuentos neofant?sticos-
|
송병선
|
253~268
|
0
|
15 |
라이프니츠의 모나드 개념으로 읽는 후아나 수녀의 ??꿈??에 나타난 바로크적 그림자
|
송상기
|
269~286
|
2
|
16 |
호세 마리아 아르게다스와 인디오
|
최미경
|
287~306
|
1
|
17 |
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스페인어 교과서 비교 분석 -의사소통기능 예시문을 중심으로-
|
손성태
|
309~325
|
2
|
18 |
비디오자료와 멀티미디어자료의 학습효과 및 활용방안 - Destinos와 Tell me more spanish로 스페인어를 학습한 학습자들 대상의 설문조사 -
|
양성혜
|
327~352
|
2
|
19 |
중학교 스페인어 교육 정책의 현황 및 발전 방향
|
최재철
|
353~370
|
0
|
20 |
An?lisis de contenidos de la base de datos bibilogr?ficos de los estudios publicados sobre Espa?a y Am?rica Latina en Corea -Desde la fundaci?n de la Rep?blica hasta el marzo de 2005-
|
Woo-joong Kim
|
373~395
|
1
|
21 |
사회?문화적 관점에서 본 스페인어와 한국어 비교 분석 및 교육 활용 방안
|
양승관
|
397~417
|
0
|
22 |
스페인어의 문법적 성을 통해 고찰한 스페인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위상 -DRAE 분석을 중심으로-
|
이재학
|
419~435
|
1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