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영동(永同) 지역의 복수지명 연구
|
성희제
|
5~52
|
0
|
2 |
‘불규칙’에 대한 주요 개념 및 용어에 대하여
|
홍희정
|
53~74
|
0
|
3 |
<심청전> 이본에 나타난 ‘심봉사 실족’ 화소의 변이 양상과 그 의미
|
경일남
|
75~97
|
0
|
4 |
백두산의 시가문학적 형상화
|
김기영
|
99~122
|
0
|
5 |
구비문학 속 미혼모와 그의 자녀들을 향한 ‘폭력’ 서사를 통해 본 병리학적 상상력- <주몽신화>, <제석본풀이>, <미혼모 엄마의 살아온 이야기>를 중심으로
|
백민정
|
123~157
|
0
|
6 |
東華 李海應의 燕行詩 硏究
|
이송희
|
159~190
|
0
|
7 |
나태주 시의 동물 표상과 함의
|
박종덕
|
191~212
|
0
|
8 |
≪三四文學≫의 아방가르드 구현 양상 연구
|
박주택
|
213~254
|
0
|
9 |
한국어 교육의 훈민정음 관련 번역 술어 연구
|
김지혜
|
255~282
|
0
|
10 |
국어국문학 전공 교과의 온라인 수업 전환 사례 - <현대시명작읽기>를 중심으로
|
오수연
|
283~303
|
0
|
11 |
한국과 일본의 중등학교 고전문학 교육에 대한 관점의 대비적 고찰
|
한창훈
|
305~328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