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인·후두 역류증의 치료
|
김영모
|
835~838
|
6
|
2 |
단일 폭발음 자극 후 기니아픽 와우세포의 형태학적 변화
|
조진생
|
839~845
|
0
|
3 |
수평반고리관 Cupulolithiasis에 의한 양성발작성두위현기증의 병리생리학적 고찰
|
문승영
|
846~852
|
2
|
4 |
일측성 메니에르병의 그룹간의 임상양상과 전기와우도 검사의 진단적 가치
|
김영진
|
853~857
|
2
|
5 |
고빌리루빈혈증성 감각신경성 난청 병력을 가진 환아의 청력 추적 관찰
|
전상준
|
858~861
|
1
|
6 |
삼출성 중이염 환아군과 구개열소아군의 측두골 함기화 정도에 대한 비교분석
|
박철원
|
862~865
|
0
|
7 |
비인강암 환자에서 Ho 병기분류법과 4판, 5판 AJCC 병기분류법의 비교
|
표경보
|
866~872
|
0
|
8 |
호흡기 상피세포에서 IL-1b에 의해 유발되는 MUC2/MUC5AC 유전자 발현 및 점액분비에 있어서 Budesonide의 억제작용
|
김용대
|
873~877
|
1
|
9 |
천식을 동반한 만성 부비동염의 병리조직학적 특징
|
동헌종
|
878~883
|
3
|
10 |
인체편평상피세포암주에서 Photogem과 632 nm Diode Laser를 이용한 광화학치료의 항암효과와 세포고사기전연구
|
정필상
|
884~888
|
0
|
11 |
가토의 혀에서 절제방법과 봉합유무에 따른 재생된 용적의 비교
|
윤양효
|
889~896
|
0
|
12 |
비인강암에서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의 병행요법의 예후인자로서의 의의 및 치료성적
|
임상철
|
897~901
|
1
|
13 |
부인두강 종양에서 진단방법의 비교분석
|
주준범
|
902~905
|
1
|
14 |
화학 소작술을 이용한 이상와 누공의 치료
|
김광현
|
906~910
|
5
|
15 |
측두골에 발생한 Paget’s Disease 1예
|
강명구
|
911~914
|
1
|
16 |
측두골 인부에 발생한 골종 1예
|
염진호
|
915~917
|
3
|
17 |
상악동에서 발생한 염증성 섬유육종 1예
|
이흥만
|
918~920
|
0
|
18 |
사골동에서 기원한 후비공 폴립:사골동후비공 폴립?
|
홍순관
|
921~925
|
1
|
19 |
사골동, 경구개와 협부에 발생한 다발성 점막 연관성 림프조직(MALT) 림프종 1예
|
류찬
|
926~929
|
1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