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시조의 텍스트 파생 양상과 그 의미
|
김학성
|
1~34
|
4
|
2 |
계층화의 명분과 기득권 수호 의지-鮮初樂章의 이중성-
|
조규익
|
2~64
|
2
|
3 |
가곡 가집 ?永言?의 문화적 도상
|
성무경
|
3~92
|
8
|
4 |
한국 巫歌의 作詩原理를 통해서 본 유고슬라비아 口碑敍事詩의 公式的 表現 연구
|
김상헌
|
4~120
|
2
|
5 |
고려 佛家의 自傳的 글쓰기와 그 양상-書信 및 碑銘을 중심으로-
|
김승호
|
5~146
|
14
|
6 |
조선 전기 귀신이야기에 나타난 神異 인식의 의미
|
조현설
|
6~178
|
40
|
7 |
<창선감의록>의 작자 문제
|
정길수
|
7~206
|
16
|
8 |
林慶業 영웅상의 실체와 그 의미
|
박경남
|
8~238
|
15
|
9 |
?破睡椎?의 존재 양상
|
金埈亨
|
9~274
|
4
|
10 |
<옥원재합기연>의 男과 女
|
최호석
|
10~300
|
4
|
11 |
18세기 朝鮮朝와 淸朝 學人의 학술교류-洪良浩와 紀?을 中心으로-
|
진재교
|
11~326
|
24
|
12 |
18세기 지식인의 玩物 취미와 지적 경향-???經?과 ?綠鸚鵡經?을 중심으로-
|
정민
|
12~354
|
24
|
13 |
李鈺 문학과 明淸 小品-신자료의 소개를 겸하여-
|
김영진
|
13~388
|
33
|
14 |
18·19세기 학풍의 변화와 소설의 동향
|
서경희
|
14~420
|
5
|
15 |
도시, 욕망, 환멸:18·19세기 ‘서울’의 발견-18·19세기 야담집 소재 ‘상경담(上京談)’을 중심으로-
|
최기숙
|
15~453
|
27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