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현대의 이야기문화와 TV현대의 이야기문화와 TV
|
천혜숙
|
1~26
|
15
|
2 |
디지털 문화 환경과 서사의 새로운 양상
|
최혜실
|
27~48
|
20
|
3 |
한국 트로트의 정체성에 대한 일고찰 -1945년 이전 노래의 시적 자아의 정서를 중심으로-
|
장유정
|
49~89
|
10
|
4 |
랩의 수용 과정을 통해 본 대중가요의 이식성과 자생성
|
박애경
|
91~118
|
5
|
5 |
현대 드라마의 구비문학적 위상
|
김종군
|
119~149
|
8
|
6 |
충청도 ‘사혼굿’의 제의 환경과 극적 효과
|
안상경
|
151~188
|
2
|
7 |
현대의 지역축제와 전설 ― 강원도 영월지역의 ‘단종제’를 중심으로
|
최명환
|
189~216
|
3
|
8 |
구비전승의 <三台星>과 <北斗七星> 神話 一考 -무속신화와 건국신화의 상관성 및 신앙의 양상을 중심으로-
|
박종성
|
217~251
|
3
|
9 |
<방귀쟁이 며느리> 민담의 신화적 성격
|
노영근
|
253~277
|
4
|
10 |
‘신방의 아들을 죽인 계모형’ 설화 연구
|
이윤경
|
279~307
|
3
|
11 |
15세기 文獻 笑話 연구 - ?太平閑話滑稽傳????齋叢話?의 서사구조를 중심으로 -
|
강성숙
|
309~353
|
2
|
12 |
민속 연희 연구의 현황과 과제
|
손태도
|
355~411
|
0
|
13 |
濟州島와 琉球의 巫祖神話 比較 硏究
|
김헌선
|
413~459
|
11
|
14 |
동아시아 홍수신화 비교 연구 -신?자연?인간의 관계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-
|
조현설
|
461~496
|
10
|
15 |
동아시아 구비서사시 이론 구축을 위한 사례 점검(Ⅰ) - 몽골 영웅서사시 <장가르>를 중심으로 -
|
崔元午
|
497~524
|
1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