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한강 유역과 경기만 퇴적환경의 연계성
|
오재경
|
1~236
|
7
|
2 |
황복, Takifugu obscurus의 초기성장과 이석의 미세구조
|
김동우
|
2~242
|
1
|
3 |
경기만 동물플랑크톤의 군집의 시.공간적 분포
|
윤석형
|
3~250
|
15
|
4 |
곰소만 조간대 해수 내 질소 성분의 시공간적인 분포
|
양재삼
|
4~261
|
10
|
5 |
중규모 기상모뎀(MM5/KMA)과 3세대 파랑모델(WAVEWATCH-III)로 계산된 한반도 주변해역의 2002년 월평균 해상풍과 파랑 분포 특성
|
서장원
|
5~273
|
6
|
6 |
파랑모델과 부이 자료를 이용한 파랑인자 특성 분석
|
서장원
|
6~284
|
4
|
7 |
새만금 외해역에서 대형 저서동물 군집 조사를 위한 적정 채집기의 선택
|
유재원
|
7~294
|
1
|
8 |
상자 모형으로 추정한 동해의 생물 펌프
|
김재연
|
8~306
|
4
|
9 |
남해 도암만에서 새우조망에 채집된 어류의 존조성
|
김종빈
|
9~316
|
8
|
10 |
한국 연안수에서 총유기탄소 및 화학적 산소요구량 분포 특성
|
손주원
|
10~326
|
7
|
11 |
동중국해 북부해역의 겨울철 수계와 전선구조
|
손영태
|
11~339
|
4
|
12 |
한반도 남해안 광양만 표층퇴적물 입도의 시.공간적 변화
|
류상옥
|
12~348
|
2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