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중국 문학예술의 초월적 시공간
|
오태석
|
1~38
|
0
|
2 |
《文心雕龍·通變》篇의 主旨
|
팽철호
|
39~60
|
0
|
3 |
杜牧 詩의 數詞 활용 연구
|
하주연
|
61~86
|
0
|
4 |
南宋의 曾幾 茶詩 考察
|
김성수
|
87~106
|
0
|
5 |
題畵詩文의 범위와 詩書畵三絶 연구 방법론
|
이주현
|
107~134
|
0
|
6 |
14-16세기 일본 五山禪僧의對中國 집단학습활동을 통한관련 지식 축적 및 인식 전파에 관한 연구(1) - 오산선승의 詩會를 중심으로
|
정세진
|
135~160
|
0
|
7 |
명청(明淸) 교체기 한족 지식인의 명사(明史) 서술로서의 시화(詩話) 연구 —주이준(朱彝尊)의 《정지거시화(靜志居詩話)》를 중심으로
|
김하늬
|
161~194
|
0
|
8 |
《隋唐演義》의 여성 재현과 역사 상상
|
李智媛
|
195~218
|
0
|
9 |
같지만 다른 王昭君 이야기—馬致遠의 《漢宮秋》와 尤侗의 《弔琵琶》를 중심으로
|
박양화
|
219~236
|
0
|
10 |
郭嵩燾의 出使 여정과 ≪使西紀程≫의 成書 과정
|
이성현
|
237~264
|
0
|
11 |
영화 〈후난 소녀 샤오샤오(湘女蕭蕭)〉를 통해 본 1980년대 인도주의(人道主義)의 한계
|
권도경
|
265~278
|
0
|
12 |
중국 아동 건강 장수 기원 의례 ‘과관(過關)’ 연구
|
오수경
|
279~306
|
0
|
13 |
사회문화자본과 중국문화연구
|
공상철
|
307~322
|
0
|
14 |
《四聲通解》에 나타난 俗音에 대하여
|
신용권
|
323~346
|
0
|
15 |
개념혼성이론을 통해 본 通感의 의미구성
|
이승훈
|
347~368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