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역사 전공교육의 질문, ‘어떻게’에서 ‘왜’로
|
이익주
|
3~16
|
0
|
2 |
4~6세기 백제에서의 중국계 이주민의 정착과 활동
|
장미애
|
19~49
|
0
|
3 |
이나사(移那斯)・마도(麻都)의 행적과 경계인의 삶
|
위가야
|
51~83
|
0
|
4 |
조선전기 향화 여진인의 활동과 경계인의 삶
|
이규철
|
85~110
|
0
|
5 |
원-명교체기 고창 설씨(高昌偰氏) 서촉 명씨(西蜀明氏)의한반도이주와후손들의동향
|
안기혁
|
111~145
|
0
|
6 |
고구려 후기의 부세체계와 유인(遊人)의 성격
|
나유정
|
147~183
|
0
|
7 |
백제와 송의 교섭 배경과 항로
|
임동민
|
185~224
|
0
|
8 |
고구려 유민 묘지명의 고구려 관련 전승과 그 계통
|
장병진
|
225~256
|
0
|
9 |
태안사 적인선사비의 이수(螭首)와 ‘비말(碑末)’에 관하여
|
이일규
|
257~299
|
0
|
10 |
조선시대 조상의문(造像儀文)의 찬술과 간행 - 『조상경(造像經)』을 중심으로 -
|
전효진
|
301~331
|
0
|
11 |
일제하 기업의 항만 개발과 ‘번영’의 동상이몽 - 일본질소의 지역진출과 함흥의 항만 건설을 중심으로 -
|
양지혜
|
333~362
|
0
|
12 |
일제시기 장항항(長項港) 개발과 그 귀결
|
배석만
|
363~398
|
1
|
13 |
18세기∼19세기 전반기의 청과 조선 - 비교사적 시야로부터의 접근 -
|
한승현
|
399~437
|
0
|
14 |
후쿠자와 유키치 유학비판의 배경과 해석 - 동아시아 유학사 재인식을 위한 출발점 -
|
강지은
|
439~483
|
0
|
15 |
감악산비 논란과 감악신사에 대하여
|
하일식
|
485~518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