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외래어 단어형성
|
노명희
|
5~30
|
30
|
2 |
顯宗의 한글 편지에 나타난 자기 지칭어 ‘신’에 대하여
|
배영환
|
31~60
|
5
|
3 |
湖林本 『瑜伽師地論』 卷三의 點吐口訣에 사용된 符號에 대하여
|
장경준
|
61~80
|
4
|
4 |
국문 서사체 서술 지문의 ‘-다, -라’ 종결 형식의 쓰임새와 문체 특징
|
정은균
|
81~104
|
5
|
5 |
왕조교체형 영웅소설의 왕조교체 방식 연구 -<음양삼태성>과 <현수문전>을 중심으로-
|
김용기
|
105~134
|
9
|
6 |
丁若鏞의 『汕行日記』 연구 : 對位法的 構成을 중심으로
|
신은경
|
135~162
|
5
|
7 |
윤치호의 『우순소리』 소개
|
이효정
|
163~198
|
7
|
8 |
<수심가(愁心歌)>의 양상과 유성기음반 노랫말 구현(俱現)
|
전영주
|
199~224
|
4
|
9 |
김수영 시에 나타난 조어(造語) 연구
|
이근화
|
225~252
|
9
|
10 |
근대성 논의에서 패러다임과 방법론의 혁신 문제 -식민지근대화론과 내재적 근대화론을 넘어 差異와 異種의 근대성으로
|
이도흠
|
253~286
|
8
|
11 |
박화성 여행소설 연구 -1930년대 전반기 문학을 중심으로
|
이미림
|
287~312
|
3
|
12 |
김현비평에 나타난 독서행위와 반성적 주체 연구
|
한래희
|
313~348
|
3
|
13 |
서정인 초기소설에 나타난 ‘멜랑콜리’와 근대비판
|
한순미
|
349~376
|
4
|
14 |
내·외국인 학생 간의 작문 수정 결과 비교
|
김성숙
|
377~416
|
15
|
15 |
학교 문법의 ‘축약(縮約)’ 및 관련 어문 규정에 대하여
|
이상신
|
417~439
|
16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