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헌에 나타난 신라의 성립과 사로국 박대재 | 한국고대사학회 | 한국고대사연구 | (100) | pp.303~342 | 2020.12 | 한국고대사 피인용횟수 : 0
『삼국사기』 ‘정보’ 비판을 위한 제언 이강래 | 한국고대사학회 | 한국고대사연구 | (100) | pp.267~302 | 2020.12 | 한국고대사 피인용횟수 : 0
월지(안압지) 출토 목간의 연구 동향 및 내용 검토 HASHIMOTO Shigeru | 한국고대사학회 | 한국고대사연구 | (100) | pp.223~266 | 2020.12 | 한국고대사 피인용횟수 : 0
신라 月池宮의 성격과 太子宮의 위치 이현태 | 한국고대사학회 | 한국고대사연구 | (100) | pp.179~222 | 2020.12 | 한국고대사 피인용횟수 : 0
신라 동궁의 구조와 범위 이동주 | 한국고대사학회 | 한국고대사연구 | (100) | pp.145~178 | 2020.12 | 한국고대사 피인용횟수 : 0
고대 동아시아의 東宮과 신라 東宮 이재환 | 한국고대사학회 | 한국고대사연구 | (100) | pp.115~144 | 2020.12 | 한국고대사 피인용횟수 : 0
세계유산으로서 동궁과 월지의 가치와 보존 - 동궁과 월지 복원사업과 법체계를 중심으로 - 양정석 | 한국고대사학회 | 한국고대사연구 | (100) | pp.83~114 | 2020.12 | 한국고대사 피인용횟수 : 0
경주 東宮과 月池 유적 건물지 配置 및 空間區劃 검토 김경열 | 한국고대사학회 | 한국고대사연구 | (100) | pp.51~82 | 2020.12 | 한국고대사 피인용횟수 : 0
동궁과 월지 조사 연구 현황과 과제 이상준 | 한국고대사학회 | 한국고대사연구 | (100) | pp.27~50 | 2020.12 | 한국고대사 피인용횟수 : 0
한국 고대사 연구 33년간의 발자취 하일식 | 한국고대사학회 | 한국고대사연구 | (100) | pp.5~26 | 2020.12 | 한국고대사 피인용횟수 : 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