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용과 인용부호 사이의 불일치 – 따옴표 사용의 몇 가지 문제 강병창 | 한국독어독문학회 | 독어독문학 | 61(4) | pp.183~205 | 2020.12 | 독일어와문학 피인용횟수 : 0
반의어 관계에 있는 독일어 분리동사들의 의미 해석과 통사적 기능 분석 권영을 | 한국독어독문학회 | 독어독문학 | 61(4) | pp.161~181 | 2020.12 | 독일어와문학 피인용횟수 : 0
난민 문제와 문학 - 청소년 문학 텍스트를 통한 사회비판적 문제의식 형성 명정 | 한국독어독문학회 | 독어독문학 | 61(4) | pp.137~160 | 2020.12 | 독일어와문학 피인용횟수 : 0
제국의 문명과 토착 문화의 불편한 동거 - 타자(성)에 대한 에스노그래피 장희권 | 한국독어독문학회 | 독어독문학 | 61(4) | pp.115~136 | 2020.12 | 독일어와문학 피인용횟수 : 0
파괴와 새 구성: 파울 클레와 카를 아인슈타인의 형상화 방식 박미리 | 한국독어독문학회 | 독어독문학 | 61(4) | pp.89~114 | 2020.12 | 독일어와문학 피인용횟수 : 0
안티포르노 이념과 여성적 주체성 - 포르노 일상화 시대에 엘프리데 옐리넥의 『피아노 치는 여자』 다시 읽기 탁선미 | 한국독어독문학회 | 독어독문학 | 61(4) | pp.59~87 | 2020.12 | 독일어와문학 피인용횟수 : 0
로베르트 발저의 동화극과 (반)연극성 안미현 | 한국독어독문학회 | 독어독문학 | 61(4) | pp.31~57 | 2020.12 | 독일어와문학 피인용횟수 : 0
베네치아 시편에 나타난 릴케의 중기 시학 황승환 | 한국독어독문학회 | 독어독문학 | 61(4) | pp.5~30 | 2020.12 | 독일어와문학 피인용횟수 : 0
독일어 습득과 뇌인지 기능 향상의 상관관계 분석 – 뇌융합 방법론을 활용한 청소년 대상 연구 이성은 | 장하아얀 | 백승철 | 한국독어독문학회 | 독어독문학 | 61(3) | pp.259~285 | 2020.09 | 독일어와문학 피인용횟수 : 0
온톨로지적 활용을 위한 다양한 상품 정보의 통합 방안 – 독일어 e-카탈로그를 중심으로 신효식 | 한국독어독문학회 | 독어독문학 | 61(3) | pp.235~257 | 2020.09 | 독일어와문학 피인용횟수 : 0